아무도 없다

사람이 살아가면서 제일 중요한게 뭘까요? 바로 건강입니다 그 다음이 돈이겠구요 살다보니 둘다 갖춘 사람은 제일 복받은게 아닐까 싶은데 나이들면서 건강하던 사람도 여기저기 아파서 병원에 입원을 하거나 거동을 못하기도 합니다

 

특히 노인 연령층이 늘어나고 부모님 세대가 많이 아플 시기이기에 보험을 들어두는 것도 필요하지만 제일 걱정되는게 간병인 비용입니다

제 주변 친척 어르신도 건강이 안좋아서 수술하고 거동이 힘드니 24시간 상주하는 간병인을 써봤고 친구 부모님도 비슷한 경우라 간병인을 구해서 쓰더군요

 

 

 

간병인 비용은? 시간당이 아닌 일당으로 계산

 

대체적으로 간병인을 사용하는 비용은 하루치 약 15만원부터 20만원까지입니다 이게 딱 정해져 있는게 아니라 업체마다 혹은 환자 상태랑 입주하여 상주하는 것과 병원에서 돌보는 것 등 환경에 따라서 금액이 차이가 나게 됩니다

 

 

 

또한 업체가 체계적인 시스템이 갖춰져서 비용 계산이랑 문제가 생겼을때 중재역할을 해주겠지만대부분 작은 업체라 간병인과 마찰이 일어났을시 개인적으로 해결을 봐야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특히 비용적으로 문제가 생기더군요 24시간 고용할 시 하루를 다 채우지 않아도 시간당 계산이 아닌 일당으로 받아야 하는걸 그쪽 세계에서는 룰로 자리잡는듯 합니다 ( 처음부터 몇시부터 몇시 정해둔 시간당은 제외 ) 이런 것도 미리 구하기전에 상의를 해보셔야 될 부분이겠어요

 

제 친구 경우는 어머니가 수술로 입원한 상태고 거동이 불편한데 24시간 병원에서 상주하는 간병인을 13만원에 구했다고 합니다 이정도면 일반적인 간병인 일당보다 싸게 구한 셈입니다 그리고 친척 어르신은 치매로 다리까지 불편해 걷지 못했을때 집에서 24시간 돌보는 하루 일당으로 18만원을 지불하였습니다 너무 비싸서 2~3일밖에 쓰지 못했지만요..

 

 

 

간병인 국가지원

 

비용이 부담되면 요즘은 간병인 보험이 나와있으니 미리 준비해두는 것도 괜찮고 알아보면 나라에서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요양병원 기준으로 간병지원해주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에서는 2024년 7월부터 2025년 12월까지 10개 요양병원을 지원하고 2027년 1월까지 전국으로 확대할 예정이라고 해요

모든 환자에게 지원되는건 아니고 장기요양 1등급 2등급수준 환자만 해당이 되고 간병비는 총 금액에서 30~50%만 부담하면 된다고 합니다

-->